공유기에서 할당되는 IP 주소와 실제 나의 고유 IP 주소를 확인하는 방법을 알아보겠습니다. 인터넷 가입 시, 인터넷 서비스 공급자(ISP)에서 가입자에게 할당하는 주소를 외부 IP(고유 IP, 공인 IP) 주소라고 합니다. 이 고유 IP 주소를 일반 가정 또는 직장에서 공유기를 통해, 여러 장치로 공유할 때 할당되는 IP주소를 로컬 또는 내부 IP 주소라고 합니다.
외부와 내부 IP 주소란?
외부 IP주소 (고유 IP, 공인 IP)
- 인터넷 가입 시, 인터넷 서비스 공급자가 사용자에게 할당하는 IP주소
내부 IP주소 (로컬 IP)
- 유무선 공유기(라우터)를 통해, 여러 장치로 나눠서 할당되는 IP주소
외부 IP주소 확인하는 방법
외부 IP주소는 검색 엔진에서 쉽게 확인이 가능합니다.
- 네이버(www.naver.com) 접속 후 [내 IP 주소] 입력하여 검색
내부 IP주소 확인하는 방법
1. 작업표시줄 검색 창에서 [CMD]를 검색한 후 [열기] 버튼을 클릭합니다.
2. 입력창에 [ipconfig]를 입력한 후 엔터를 누르면 현재 이 PC에 할당된 내부 IP주소를 확인합니다
ipconfig
공유기에서 IP주소 확인하는 방법
공유기 관리 페이지에 접속하여 한 번에 확인할 수도 있습니다. 또한 공유기 관리 페이지에서 장치마다 할당된 개별 IP 주소도 한 번에 확인할 수 있습니다. 국내에서 제일 많이 사용되는 ipTIME 공유기 기준으로 설명을 드리겠습니다.
1. 일반적으로 [192.168.0.1]를 브라우저 주소창에 입력하여 관리자 페이지에 접속할 수 있습니다.
- 관리자 페이지 접속 ID와 PW는 공유기 뒷면 스티커에 표시되어 있습니다.
2. [고급 설정]에서 [내부 네트워크 설정]으로 이동하여 장치마다 할당된 내부 IP주소를 확인 가능합니다.
맺음말
결론으로 나의 진짜 IP주소는 외부 IP주소입니다. 내부와 외부 IP의 차이를 알고만 계셔도 유용하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. 예를 들어 사이트나 기기에서 특정 IP주소만 허용하는 기능을 설정할 때, 공유기에서 할당해 준 내부 IP가 아닌 외부 IP 주소를 입력하셔야 문제없이 설정하실 수 있습니다.
앞으로도 좋은 글로 찾아 뵙겠습니다.